제 목 : [주일3부] 저주에서 벗어나라 | |
성경본문 : 롬1:18~23 | 설교일 : 2009-09-13 |
설교자 : 조선구 | 음성받기 |
첨부파일: ![]() |
분류 |
주일 3부 |
제목 |
저주에서 벗어나라 |
성경 |
롬1:18~23 |
일시 |
2009년 9월 13일 |
장소 |
믿음의 교회 |
강사 |
조선구 목사 |
♣ 서 론 ♣ |
우리에게 오늘 저주에서 벗어나라고 말씀하셨다. 우리가 살다보면 많은 염려거리가 있다. 많은 문제 속에도 있다. 많은 시험 속에도 있다. 우리 염려 속에 있으면 힘이 빠진다. 염려거리를 언약으로 붙잡아야 한다. 우리는 지금부터 말씀 붙잡고 현장으로 가야한다. 우리 상황에는 나와 관계없이 오는 저주가 있다. 이걸 우리가 원죄라고 한다. 요8:44 원죄다. 우리가 의지가 약해서 오는 것도 있다. 우리가 실수를 해서 오는 것도 있다. 중요한건 언젠가는 영적문제가 다시 시작된다. 마지막에 이런 문제가 다시 온다. 거의 성공 했을 때 이런 문제가 다시 온다. 결국엔 후대에게 문제가 온다. 우리가 여기서 빠져 나오는게 복음이다. 우리가 복음을 가지고 저주가운데 있는 사람들을 살려야 한다.
♣ 본 론 ♣ |
1. 우리가 과거를 넘어서야 한다. 과거 가지고는 오늘도 못 살리고 오늘 가지고는 내일도 안된다. 우리는 그래서 항상 갱신해야 한다.
(1) 유대인들이 왜 망했는가? 이 사람들은 선민사상이라고 하는 민족사상이 강했다. 이런 사상가지면은 계속 당하게 되어 있다.
(2) 로마를 뛰어 넘어서라.
① 영이 어두워 지니깐 늘 허망해진다.
② 마음은 미련해진다. 우리가 상처를 가지고 과거에 묶여져 있으면 늘 어려움에 당한다.
③ 우리는 상처에 빠진다. 렘넌트 들은 여기서 빠져나와라. 과거에 빠지지 마라. 우리는 과거를 넘어서야 한다. 하나님의 능력을 바라 보면은 아무것도 아니다.
2. 영원히 썩지 않아야 될것을 준비해라.
(1) 말씀을 정리 하는 것이 좋다. 말씀을 정리해서 내 것으로 만 들어라.
① 복음을 말해라. 성경적 원래인간이 뭐냐? 이 땅의 모든 문 제의 원인이 뭐냐? 이 문제를 해결할 그리스도가 누구냐? 어떻게 하면 하나님의 자녀가 되느냐?
② 복음을 못 누린다. 어떻게 복음을 누리느냐? 확신으로 누린 다. 요일5장 그리스도의 비밀을 아는 자 는 세상 끝날 까지 함께한다. 좋은 일이고 나쁜 일이고 그것에 하나님의 계획 이 있다. 예수님이 가지고 있는 하늘과 땅의 권세를 누려 라. 기도라는 엄청난 축복을 가지고 누려라. 우리가 제자를 찾으면서 누려야 한다. 문제를 가지고 누려라.
③ 현장에서는 뭘 붙잡아야 되는지 알아야 한다. 우리의 신앙 의 누림이 현장에서 되어야 한다. 그리스도가 나의 모든 문제를 해결해 놓으셨다. 하나님의 성령이 함께하신다. 우 리는 천국열쇠가 있다. 우리는 말씀의 증거가 있다. 우리 의 근거가 성경이다. 나의 힘의 원천인 하나님이다. 우리 가 어려움을 당하면 하나님의 힘이 직접 역사하게 되어 있 다.
④ 전도라는 메시지를 붙잡아야 한다. 전도를 말하는 제자가 필요하다. 전도는 하나님이 하시는 것이다. 전도운동을 해 야 하는데 내가 지속을 할 수가 없기 때문에 제자를 세워 야 한다. 현장에 제자가 많이 세워지고 사역자가 많이 세 워 지면 흑암이 다 무너진다.
(2) 히11장
(3) 롬16장의 인물들
3. 우리는 전도의 그림을 그려야 한다.
(1) 우리는 정시기도 시간마다 그림을 그려야 한다.
(2) 우리의 현장에서 무시기도의 그림이 그려져야 한다.
(3) 예배기도는 계속적으로 응답이 확인이 되어 진다. 우리의 방 향이 나온다.
(4) 이것이 확실하다면 깊은 기도가 나와야 한다. 하나님의 능 력이 체험이 되도록 깊은 기도를 해라. 오늘 부터는 하나님 의 은혜를 가지고 모든 걸 해라.
♣ 결 론 ♣ |
(1) 하나님의 말씀을 가지고, 하나님의 힘을 가지고 해라.
(2) 다른 사람을 살릴 정도로 도울 정도로 힘을 얻어라.
(3) 우리가 민족복음화 세계복음화 할 정도로 힘을 얻어라. 하나 의 계획을 바라보는 방법이 말씀정리 이다.
"
이전글 : 거짓 그리스도의 증거를 조심하라 | |
다음글 : 언약의 말씀을 회복 | |
이전글 다음글 | 목록보기 |